곡물을 토큰으로? 핀테크로 진화한 식품기업, 어보브 푸드 인그레디언츠[ABVE]의 실체

어보브 푸드 인그레디언츠

기업의 철학이 밭에서 시작된 사례가 있습니다. 캐나다 서스캐처원에서 자란 라이오넬 캄바이츠는, 유기농 농법을 실천한 아버지 밑에서 종자를 고르고 흙을 만지며 자랐습니다. 그 경험은 훗날 ‘Seed to Fork’, 씨앗부터 식탁까지라는 철학으로 이어졌고, 그는 곡물 유전체 분석과 단백질 구조 최적화에 집중하게 됩니다. 특히 많은 기업들이 넘지 못한 고비인 완두콩 특유의 비린 맛(비니 플레이버)을 제거하는 텍스처라이징 기술을 확보하면서, 미국 대형 유통망과의 계약이 성사됩니다.

이 기업의 이름은 대중에겐 낯설 수 있지만, Beyond Meat나 Tattooed Chef 같은 브랜드의 제품 뒷면엔 종종 “Above Food, Regina, SK”라는 이름이 제조사로 등장합니다. 이처럼 PB·OEM 공급망의 핵심으로 작용하면서도, 브랜드 전면에는 나서지 않는 ‘숨은 실세’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들은 탄소 배출 저감에서도 앞서 나갔습니다. 2022년 탄소 라벨 의무화 이후 Whole Foods와 Loblaw의 PB 계약을 따냈고, 이는 탄소 효율이 직접 매출로 이어진 대표 사례로 평가됩니다.

2025년엔 Palm Global과 합병하며, 실물 곡물 데이터를 기반으로 금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실험도 시작했습니다. 이제는 식품을 넘어, 농업과 금융을 잇는 새로운 모델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출발은 밭이었지만, 이들의 여정은 지구와 시장을 동시에 겨냥하고 있습니다.


어보브 푸드 인그레디언츠, 회사 개요

  • 회사명 Above Food Ingredients Inc 지속가능 농업 기반 Seed-to-Fork 생태계 구축

  • 섹터 Consumer Defensive — Packaged Foods & Ag-Tech, Fin-Tech

  • 비즈니스 모델
    • 원물 재배부터 CPG 제조까지 수직계열화, 부가가치 극대화
    • B2B 원료 공급과 B2C 브랜드 병행으로 수익 구조 다변화
    • AI 기반 종자 분석 통한 로열티 수익까지 확보한 혁신 기업

  • 설립연도 및 배경
    • 2019년 캐나다 농업 베테랑들, 재생 농업 미션으로 창업
    • 2024년 6월 SPAC 합병으로 나스닥 시장 성공적 입성

  • 현재 CEO 및 이력
    • 4대째 농장주 출신, 40년 경력의 연쇄 창업가 Lionel Kambeitz
    • 농업-탄소-식품 융합 전략으로 프라이빗 라벨 시장 선도

어보브 푸드 인그레디언츠, 업계 내 위치

  • 시장 성과
    • FY 2024 매출 2.73억 달러, 29개국 6만여 유통 채널 확보
    • 공장 가동률 30%만으로 이룬 성과, 막대한 성장 잠재력 보유

  • 기술 경쟁력
    • '유전체 분석→AI 육종→제품' 업계 최초의 완전 통합 모델 구축
    • 블록체인 기반 이력 추적 시스템으로 글로벌 CPG의 ESG 요구 충족

  • 경쟁사 비교
    • 거대 곡물기업 대비 '재생 인증' 비중 높아 ESG 경쟁력 우위
    • 경쟁 스타트업과 달리 원물 조달 내재화, 높은 마진율 확보

  • 주요 파트너십
    • AB InBev, Kraft Heinz 등과 장기 공급 계약으로 매출 안정성 확보
    • BASF와 기술 협약, 종자 진단 정확도 30% 이상 향상

어보브 푸드 인그레디언츠, 최근 주요 뉴스

  • 뉴스1
    • ABVE, 팜 글로벌과 최종 인수 계약 체결 (2025-07-07)
    • 인수 후 실질 자산가치 급증 및 중동 핀테크 네트워크 강화 기대

  • 뉴스2
    • ABVE, 나스닥 완전 상장 적격 지위 획득 (2025-06-12)
    • 상장폐지 우려 해소, 기관 투자자 자금 유입 재개 기대

  • 뉴스3
    • 반기 실적 발표, 부채 없는 마진 중심 전략 공개 (2025-04-29)
    • 차입금 상환으로 재무 건전성 확보, 나스닥 상장 유지 기반 마련

어보브 푸드 인그레디언츠, 향후 전망 분석

  • 강점 & 기회요소
    • 탄소 저감 단백질 수요 급증 속 추적 시스템으로 프리미엄 시장 선점
    • DeFi 플랫폼 접목으로 농산물 토큰화 등 고마진 신사업 기회 확보

  • 약점 & 위험요인
    • 지속적 M&A 비용 발생, 단기 순이익 변동성 및 원자재 가격 리스크
    • 인수 합병 후 주식 수 증가에 따른 지분 희석 부담 상존

  • 재무계획 및 목표
    • FY 2026 매출 5억 달러·조정 EBITDA 마진 12% 달성 목표
    • PB 라인 증설, AI 육종 로열티, 토큰 수수료 등으로 성장 계획

 

어보브 푸드 인그레디언츠, 재무상태 분석

  • 오버뷰 연평균 34% 매출 고성장, M&A 투자 확대로 인한 영업 적자 지속

  • 이익률 영업이익률은 음수, 그러나 적자 폭은 점차 개선되는 추세 확인

  • 특이점 Palm Global RTO 관련 일회성 비용 반영으로 순손실 일시 확대

  • 투자 지표 분석 P/S 0.27배, 동종업체 대비 저평가 상태, 흑자 전환 시 재평가 기대

어보브 푸드 인그레디언츠, 주식/주주 현황

  • 주가 흐름
    • 팜 글로벌 합병 발표 후 주가 급등, 나스닥 상장 유지 후 강세 전환
    • 최근 10일 평균 거래량 급증, 시장의 높은 관심도 입증

  • 주요 주주
    • 내부자 지분 10.65%, 경영진과 주주의 이해관계 일치
    • 기관 지분 12.26%, 낮은 비중이나 향후 유입 잠재력 보유
    • 2025년 1분기 기관 순매수 전환, 본격적 리빌딩 단계 진입
    • RTO 완료 후 신규 발행주식 유입에 따른 희석 리스크 상존

  • 기타 정보
    • 공매도 비중 0.60% 수준으로 숏 스퀴즈 발생 가능성은 제한적

Above Food Ingredients는 AI 기반 종자 개량, 정밀 가공, Private Label 제조, 그리고 실물자산 토큰화까지 아우르는 독특한 식품·기술 융합 기업입니다. Palm Global과의 합병으로 금·탄소·농산물 기반 DeFi 플랫폼을 확보하면서, 기존 식품 회사와 차별화된 확장성을 갖췄습니다. 여기에 현재 공장 가동률이 30%에 불과해, 수요 증가 시 레버리지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실적은 아직 적자이고, 합병에 따른 주식 희석, 규제 리스크, 유동비율 저하 등 구조적인 약점도 분명 존재합니다. 주가는 최근 급등했지만, 기대가 선반영된 측면도 크며 실적과 CBDC 사업의 진전 여부가 향후 방향성을 가를 핵심이 될 것입니다.

결국 이 기업은 ‘식품 회사’와 ‘자산 플랫폼’ 사이 어디쯤에 있습니다. 이 정체성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향후 주가에 대한 판단도 달라질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