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 지분, 현금처럼 뽑는다? 베네피션트[BENF]의 대체자산 혁신

etc-image-0
베네피션트

Kansas의 작은 농촌 마을에서 자란 Brad Heppner는 전통 금융 시스템이 외면해온 중소 투자자들을 위한 새로운 길을 만들겠다는 목표로 2013년 Beneficient Company Group L.P.를 설립했습니다. 그는 Kansas 주 정부와 손잡고 TEFFI(기술기반 신탁 금융기관) 법을 제정했습니다. 이 법은 베네피션트트가 미국 내에서 유일하게 대체 자산을 디지털화하고 신탁 구조로 관리할 수 있는 법적 플랫폼이 되게 했으며 지금도 그 규제적 기반은 회사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사회에는 톰 힉스, 데니스 록하트 같은 전설적인 인물들이 참여해 있으며, 단지 명함을 걸어둔 이름이 아니라 실제로 회사의 전략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Mercantile Bank International 인수를 통해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으로 확장을 꾀하고 있고, TEFFI 구조를 통해 발생한 수수료는 실제로 Kansas의 소규모 커뮤니티 13곳에 경제개발 보조금으로 환원됐습니다. 기업의 철학과 수익 모델이 지역 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드문 사례입니다.

베네피션트는 '유동성 솔루션'만 제공하는 핀테크가 아닙니다.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대체 자산 시장의 인프라 자체를 재설계하려는 시도이며 지금까지의 금융이 다뤄오지 못한 자산의 흐름을 데이터와 신탁 구조를 통해 다루는 아주 독특한 금융 실험입니다.


etc-image-1

베네피션트, 회사 개요

  • 회사명
    • Beneficient Company Group L.P.
    • '유익한, 이로운'을 뜻하는 영단어 Beneficent에서 파생된 사명

  • 섹터
    • Financials — Capital Markets / Fintech-Enabled Alternative Asset Services

  • 비즈니스 모델
    • 기술 중심 금융 서비스로 대체 자산 시장의 유동성 문제 해결에 집중
    • 핵심 플랫폼 ‘AltAccess’로 사모펀드 등 비유동 자산의 조기 현금화 지원
    • 유동성 공급(Ben Liquidity), 자산 수탁(Ben Custody), 신탁 교환(ExAlt Trusts)을 운영

※ 대체자산: 사모펀드 지분, 벤처캐피털 펀드, 비상장 주식, 구조화 채권, 예술품, 생명보험 정산권 등

  • 설립연도 및 배경
    • 2003년 설립 후 2017년 상업 운영 시작, 2023년 나스닥 시장에 상장
    • 소수 대형 기관이 독점하던 대체 자산 시장의 대중화를 목표로 설립

  • 현재 CEO 및 이력
    • 현 CEO는 창업자 Brad K. Heppner, 골드만삭스와 베인앤컴퍼니 출신
    • 켈로그 MBA를 취득했으며 다수의 금융 및 자산운용사를 설립, 인수한 경험 보유

etc-image-2

베네피션트, 업계 내의 위치

  • 시장 성과
    • 고액 자산가와 중소형 기관의 틈새시장을 공략, 약 2.7조 달러 규모로 추산
    • 연간 61억 달러 이상의 잠재적 유동화 수요를 바탕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 보유

  • 기술 경쟁력
    • 자체 개발한 'AltAccess'와 알고리즘 'MAPS' 시스템으로 빠르고 효율적인 거래 실현
    • AT&T NetBond 인증을 받은 보안 인프라를 기반으로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

  • 경쟁사 비교
    • 주요 경쟁사 대비 평균 1~14일 내의 신속한 유동화 서비스 제공으로 차별화
    • 단순 상품 제공을 넘어 '유동성 + 신탁 + 기술'을 결합한 독보적인 솔루션 제공

  • 주요 파트너십
    • 캔자스주의 TEFFI 규제를 준수하는 자체 신탁법인을 통해 신뢰 기반의 거래 보장
    • 외부 의존도를 낮추고 플랫폼의 기술력을 중심으로 하는 자율적인 사업 구조 지향

etc-image-3

베네피션트, 최근 주요 뉴스

  • 960만 달러 규모 GP Primary Capital 거래 체결 (2025년 4월 7일)
    • 단기적 주가 희석 우려가 부각됐으나 장기적인 유동성 기반은 오히려 강화

  • GWG 소송 관련 합의 발표 (2025년 3월 10일)
    • CEO 관련 일부 리스크는 남았지만 핵심적인 경영 불확실성은 성공적으로 해소

  • 2025 회계연도 3분기 실적 발표 (2025년 2월 13일)
    • 성공적인 흑자 전환과 비용 구조 개선으로 시장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냄

etc-image-4

베네피션트, 향후 전망 분석

  • 강점 & 기회요소
    • 대체 투자 시장의 '민주화'를 선도하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선두주자 역할
    • 연 15% 이상 고성장하는 대체 자산 시장의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을 것으로 기대

  • 약점 & 위험요인
    • 자산 가치 평가의 불확실성 등 대체 자산 시장이 가진 고유의 리스크에 노출
    • 금리 등 거시 경제 변화에 민감하며, 주가 희석 가능성은 단기적 주가에 부담

  • 재무계획 및 목표
    • 고정 자기자본 1억 달러 이상 유지를 목표로 안정적인 재무구조 구축 계획
    • Mercantile Bank 인수를 통해 디지털 자산 및 글로벌 자산관리 역량 강화 본격화

etc-image-5

베네피션트, 재무상태 분석

  • 오버뷰
    • TTM 기준 적자 상태지만, 영업손실과 순손실 규모는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

  • 이익률
    • 아직은 본격적인 수익 창출 단계에 이르지 못했으나 이익률은 개선 흐름을 시현

  • 특이점
    • 심각했던 주당순이익(EPS) 적자 폭이 크게 줄어들어 구조조정 성과가 가시화

  • 투자 지표 분석
    • 자기자본 잠식 상태에도 불구하고 높은 목표 주가는 향후 성장 잠재력 기대를 반영

etc-image-6

베네피션트, 주식/주주 현황

  • 주가 흐름
    • $0.4442, 최근 1개월 +52.12%, 최근 1년 -86.74%
    • GWG 소송 합의와 실적 개선, 신규 GP 거래 발표가 투자 심리를 자극하며 단기 반등세 유도

  • 주요 주주
    • 내부자 지분율은 15.14%이며, 기관 투자자 지분율은 13.58%를 차지
    • 대표적인 기관 주주로는 Hatteras Investment Partners, Stifel Financial 등이 존재
    • 최근 내부자 순매수(+2.60%)가 증가하며 경영진의 회사에 대한 신뢰도를 반증
    • 총 22개의 기관 투자자가 주식을 보유하며 점차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는 단계

  • 기타 정보
    • 2024년 4월 1대 80의 주식 병합을 실시, 유통 주식 수를 줄여 주가 부양 시도

etc-image-7

베네피션트의 최근 주가는 한 달간 50% 이상 상승하며 단기 반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GP Primary 거래 확대, GWG 소송 합의 완료, 3분기 실적 개선 등 일련의 긍정적인 뉴스 흐름이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특히 적자폭 축소와 자기자본 전환, 그리고 Mercantile Bank 인수 추진 등은 향후 실적 개선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기술 기반의 플랫폼 운영, TEFFI 법을 통한 규제 경쟁력, 중소 투자자 중심의 사업 모델은 이 기업만의 고유한 성장 잠재력을 보여주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구조적으로는 여전히 적자가 지속되고 있으며, 자기자본은 마이너스 상태에서 갓 회복한 수준입니다.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이 지나치게 낮고, 자산 구조도 부정적인 ROE와 영업마진으로 인해 불안정한 편입니다. 대체 자산이라는 본질적 비유동성 문제 또한 기업 성장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리스크 요인입니다.

이 회사가 추진하는 혁신적 플랫폼, 법적 기반, 시장 개척자라는 장점이 실질적 수익성과 자산 효율성 개선으로 연결된다면 시장은 다시 한 번 이 기업에 프리미엄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제 베네피션트는 그들의 창업 과정과 서사의 무게를 실적과 숫자로 증명해야 할 시점에 도달했습니다.

etc-image-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