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로진 테라퓨틱스[ALLO], 공매도 세력에 한 방 먹인 바이오테크 기업의 비밀

반응형
알로진 테라퓨틱스

바이오테크 업계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항상 시장의 환영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알로진 테라퓨틱스(ALLO)는 차세대 동종유래 CAR-T 치료제 개발로 주목 받았지만, 그만큼 시장에서 수많은 도전과 공격을 받아왔습니다. 특히 공매도 세력과의 전쟁은 이 회사의 주가 흐름에서 빠질 수 없는 요소이죠.

2021년, FDA가 알로진의 임상 데이터를 추가 검토하겠다고 발표하자 시장은 충격에 빠졌고, 주가는 며칠에 걸쳐 50% 이상 폭락했습니다. 이 소식을 기회로 삼은 공매도 세력들은 공격을 강화하며 공매도 비율을 25% 이상으로 끌어올렸고, 회사는 한순간에 시장의 신뢰를 잃게 되었죠. 2024년에도 상황은 다르지 않았습니다. 끊임없는 자금 소진과 임상 연구 지연에 대한 불안이 커지면서, 공매도 세력들은 다시 불나방처럼 몰려들었고 주가는 2달러 아래로 추락하며 상장 폐지 가능성까지 거론되기에 이릅니다. 그러나 2025년 2월, 오랜 기다림 끝에 ALPHA/ALPHA2 임상 시험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발표되자, 주가는 하루 만에 44.68% 급등하며 강력한 반격을 날려 버렸습니다.

이처럼 알로진의 주가는 공매도 세력과의 전쟁 속에서 급등락을 반복하며 투자자들에게 강철멘탈을 요구하고 있는 중입니다. 현 시점에도 여전히 공매도 비율은 15~20%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앞으로의 FDA에서 발표하는 뉴스에 따라 주가 변동성은 더욱 클 가능성이 있습니다.

과연 알로진은 공매도 세력의 공격을 이겨내고, 바이오테크 전장에서 혁신적인 기술력으로 왕좌에 앉을 수 있을까요?


알로진 테라퓨틱스 회사 개요

  • 회사명: Allogene Therapeutics, Inc.

  • 섹터: Healthcare—Biotechnology

  • 비즈니스 모델:
    • 동종유래(Allogeneic) CAR-T 세포 치료제 연구 및 개발
    • 건강한 기증자의 T세포를 활용한 대량 생산 가능
    • 기존 자가유래(Autologous) CAR-T 치료제 대비 생산 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

  • 설립연도 및 배경:
    • Kite Pharma에서 연구개발 인력이었던 Dr. David Chang에 의해 2017년 설립
    • 기존 CAR-T 치료제는 환자 자신의 T 세포를 이용하는 자가유래 방식이었음. 이는 고비용 및 시간 소요 문제를 야기함
    • 알로진은 타인의 건강한 면역세포를 활용하여, 필요할 때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동종유래 CAR-T 치료제를 개발 → 만들어 놓고 즉시 사용한다는 개념은 CAR-T 치료에서는 최초

✔ 창업 과정의 논란거리

    • Kite Pharma가 Gilead Sciences에 인수된 지 몇 달 지나지 않아, 핵심멤버들이 ALLO 창업함
    • Kite Pharma에서 연구하던 CAR-T 치료 연구를 지속하면서 묘한 긴장감이 형성됨
    • 그러나, "동종유래 CAR-T" 치료로 방향을 선회하며 법적 문제 없이 독자적인 길을 가는 중

  • 현재 CEO 및 이력: Dr. David Chang(데이비드 창)
    • Stanford University 의학 박사(M.D.) 및 박사(Ph.D.), Kite Pharma 연구개발 총괄 출신
    • Kite Pharma가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에 인수되는 과정에서 핵심 역할 수행
    • 혈액암 및 면역치료 분야 20년 이상 경력으로, 다수의 신약 개발 프로그램을 성공적 리딩

업계에서의 위치와 경쟁 비교

 

  • 시장 성과
    • UCART19, ALLO-316, ALLO-329 등 여러 동종 CAR-T 치료제 개발 중
    • ALPHA/ALPHA2 임상 시험에서 긍정적 데이터 발표 후 주가 급등 (44.68% 상승)

✔ 파트너십

    • Pfizer: 2021년 체결한 협약으로 12억 규모의 성과급 계약을 맺고 공동 개발을 진행중
    • Lonza/WuXi Advanced Therapies: 유전자 편집 및 세포 치료 제조 협력

  • 핵심기술 및 차별화 전략

AlloCAR T™ 플랫폼

    • 건강한 기증자의 T세포를 유전자 편집 기술(CRISPR/TALEN)로 변형해 "Off-the-shelf(즉시 사용 가능)" 치료제를 개발
    • 이는 환자 맞춤형 치료제(자가유래) 대비 생산 시간을 2~3주로 단축하고, 단일 제조 과정으로 100명 이상의 환자에게 치료가 가능해 비용을 50~70% 절감할 수 있음

표적 다양화

    • 현재 CD19(림프종), BCMA(다발골수종), CD70(신장암) 등 다양한 항원을 타겟으로 한 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고형암 및 자가면역 질환 적용 연구도 진행중

알로진의 차별점 대량 생산 가능성저렴한 비용

  • 주요 경쟁사: Novartis(Kymriah), Gilead(Kite Pharma), Bristol-Myers Squibb(Breyanzi) 등 자가유래 CAR-T 치료제 선두 기업들과 경쟁중

최근 6개월 간의 뉴스

  • ALPHA/ALPHA2 임상 시험에서 긍정적 데이터 발표 (2025년 2월 13일)
    • 차세대 동종유래 CAR-T 치료제의 지속적인 반응률을 입증하는 핵심 연구
    • 암세포 제거하는 반응률이 일정 수준 유지됨 → 혈액암 치료제 FDA 승인 가능성이 높아짐

  • 미국 FDA, ALLO-329 임상 시험 승인 (2025년 1월)
    • 개발중인 새로운 CAR-T 치료제에 대해 사람 대상의 임상 시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허가함
    • 신약 개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첫 단계 통과 → 암 뿐 아니라 자가면역 질환 치료 가능성

  • FDA, ALLO-316 재생의학 첨단 치료제(RMAT) 지정 (2024년 10월)
    • FDA가 혁신적인 치료법으로 인정한 신약에 부여하는 특별 지정 제도로 심사가 더 빠름
    • 신장암 치료용 동종유래 CAR-T 치료제로 주목

향후 전망 분석

  • 사회/정치적 영향
    • FDA 및 유럽 EMA 규제 승인 필요: CAR-T 치료제는 혁신적이나,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
    • 정부의 약가 규제 강화 가능성: 약가 인하 압력, 보험사의 치료 범위 제한
    • 암 치료제 관련 정부 지원 확대 전망: 연구 개발에 자금 지원, 패스트 트랙 지정

  • 기술 발전 영향
    • CRISPR 유전자 편집 기술과 결합으로 특정 유전자 제거면역 거부 반응 감소
    • 기존 자가유래 CAR-T 치료제는 고가이고 생산과정이 복잡함 → 동종유래 CAR-T 치료제가 낮은 생산 비용으로 대량 생산 시스템이 가능함

  • 재무 목표 및 계획
    • 단기적인 수익성 확보보다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에 집중
    • 연구개발(R&D) 투자 지속으로 자금 조달 필요성 증대: 유상 증자, 벤처 캐피탈 투자 유치, 정부 지원금 확보
    • 2026년 첫 상업화 제품 출시 가능성에 회사의 명운을 걸어야 할 상황

 


재무 상태 - 극심한 빈곤 해소가 시급

항목
TTM (2024)
2023년
2022년
2021년
총수익
0.04M
0.21M
0.16M
114.09M
영업이익
-268.86M
-314.49M
-335.54M
-180.19M
EPS
-1.54
-2.09
-2.38
-1.34
EBITDA
-254.97M
-300.29M
-321.24M
-169.74M
순이익
-283.43M
-327.27M
-340.41M
-182.05M
비용 관리
201.95M
242.82M
256.23M
220.18M
  • 오버뷰: 매출은 거의 없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1년 이후로는, 사실상 수익이 없는 상태입니다.

  • 이익률: 영업이익은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EPS(주당순이익)도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습니다.

  • 특이점: 연구개발로 인해 운영 비용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자금 조달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를 위한 추가 분석

  • 투자 리스크
    • 상업화된 제품이 없는 상태, 이익이 없어 투자 지표가 무의미함
    • P/S 매출 대비 주가 비율이 매우 높음
    • 혁신 기술력 외에 수익성, 밸류에이션, 재무 건전성에서는 낙제점
    • 애널리스트 분석으로 12개월 목표주가가 평균 $10.06 이나, 임상시험 성공이 전제임

  • 주요 리스크 요약
    1. 재무 리스크: 지속적인 적자로 인해 추가 자금 조달 필요
    2. 임상 시험 및 규제 리스크: FDA 승인 실패 시 미래 불확실, 비싼 약값에 대한 정부 규제
    3. 경쟁 심화: Novartis, BMS 등 대형 제약사의 동종유래 CAR-T 개발 경쟁이 가속화

주주 구성 및 주요 투자자

  • 내부자 지분: 18.07%

  • 기관 투자자 지분: 80.72%
    • FMR, LLC – 11.34%
    • Pfizer Inc. – 10.51%
    • TPG GP A, LLC – 8.93%
    • BlackRock Inc. – 8.61%
    • Lynx1 Capital Management LP – 5.19%

  • 공매도 비율: 15.28%, 커버기간 11.7일

※ 기관 투자자 비율이 80%인데 공매도 비율이 왜 높을까?

    • 바이오테크 기업은 임상 결과에 따라 변동성이 크다는 공식 때문에 공매도 세력의 타겟이 되기 쉬움
    • 기관 투자자들이 반드시 장기 보유하는 것만은 아님. 변동 장세에서는 단기 매매, 주식 대여를 하기도 함
    • 일반적으로 세력은 기관 투자자 비중이 높은 주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 개인 투자자는 단기적 시각으로 변동성에 쉽게 흔들림 (하락에 함께 팔고, 상승에 따라 사는 경향)

  • 배당 정보: 배당 계획 없음

곳간이 텅텅 빈 알로진이 FDA 동앗줄로 인생 역전이 가능할까?

알로진 테라퓨틱스는 숱한 공매도 세력과의 격전 속에서도 동종유래 CAR-T 치료제 개발이라는 외길을 묵묵히 걸어왔습니다. 2025년 2월, ALPHA/ALPHA2 임상 시험의 성공적인 결과는 오랜 침묵을 깨고 화려하게 터져 나온 만루홈런과 같았습니다. 관중은 열렬한 박수로 환호했고, 구단을 떠난 투자자들은 다시 돌아 왔습니다. 그간의 연구 공백 우려와 상장 폐지 걱정을 단숨에 날려버렸죠. 알로진이 개발중인 동종유래 CAR-T 치료기술의 미래 성장 가능성은 의심할 여지 없이 너무나도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가혹한 현실은 알로진이 넘어야 할 산이 여전히 높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만성적인 적자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상업화 성공과 지속적인 자금 조달이라는 두 가지 난제를 해결해야만 합니다. 게다가 넘어야 할 규제의 문턱과 치열한 경쟁 환경 또한 만만치 않습니다. 결국 알로진의 성공 여부는 혁신적인 기술력과 견고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FDA 승인을 받아 상업화에 성공하는지 여부에 달려있는 상황입니다. 공매도 세력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해 알로진은 지금보다 단단해져야 할 것입니다. 지금 알로진에게는 불확실성 속에서 단단히 다져왔던 기술력을 믿고 앞으로 나아가는 길 밖에 없습니다. 진격 앞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