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흔히 아는 코로나19 백신들은 대부분 '스파이크 단백질(S protein)' 하나만을 타겟으로 합니다. 하지만 지오박스 랩스는 이렇게 말합니다.
“왜 하나만 겨냥해? 우리는 스파이크(S)와 뉴클레오캡시드(N) 둘 다 잡을 거야.”
그들의 백신 GEO-CM04S1은 두 개의 항원을 한 번에 담아내는 다항원(multi-antigen) 백신입니다. 이건 단순한 성능 향상이 아니라, 기존 백신 설계 철학 자체를 뒤집는 혁신입니다.
여기에 MVA 플랫폼이라는 특별한 무기를 더합니다. 이 플랫폼은 냉동고 없이도 동결건조(lyophilized) 형태로 상온 또는 일반 냉장 조건에서도 장기 보관이 가능한 백신을 만듭니다. 실제로 이 기술 덕분에 지오박스 랩스는 백신 유통망이 부족한 아프리카와 동남아 지역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후보로 부상중입니다. WHO를 비롯한 국제 보건기구와의 협력 논의도 실제로 진행되고 있으며, Mpox 백신 공급 파트너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오박스 랩스, 회사 개요
- 회사명: GeoVax Labs, Inc.
- Geo(지구)와 Vax(백신)의 결합어, 전 세계적인 감염병 대응을 목표로 한 사명을 의미
- 섹터: Healthcare — Biotechnology
- 비즈니스 모델
- 임상 2상 단계의 바이오텍 기업, 백신 및 면역치료제 개발
- VLP/MVA 기반 플랫폼 활용, 코로나19/HIV/Mpox 등 다양한 감염병 백신 및 Gedeptin® 고형암 유전자 치료제 개발
- 수익원은 현재 연구 자금/정부 파트너십, 향후 임상 성공 후 라이선스 아웃/생산 계약 기대
- 설립연도와 설립배경
- 1988년 설립, 조지아주 스머나 본사
- 초기 감염병 백신 목표 → HIV 백신 주목 → MVA 플랫폼 기반 다양한 감염병/암 치료 확장
- 코로나19 계기 mRNA 한계 보완 차세대 백신 개발, 암 면역치료제 포트폴리오 확대
- 현재 CEO, 이력
- David Alan Dodd, 2018년부터 GeoVax CEO 겸 회장직 수행
- 조지아 공대 졸업,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에서 경영학 수학
- 글로벌 제약사 CEO 경험 바탕으로 상장, 기술 인수, 임상 전략 고도화 주도

지오박스 랩스, 업계 내의 위치
- 시장 성과
- 현재 글로벌 백신/항암제 시장 임상 단계 개발 기업, 상용화 제품 없음
- GEO-CM04S1(차세대 코로나19), Gedeptin(고형암) FDA 지원 임상 2상 진입
- Mpox/Smallpox(GEO-MVA) 미국 HHS 전략 비축 후보 평가 중, Mpox 백신 수요 증가 수혜 기대
- 기술 경쟁력
- MVA 기반 VLP 백신 플랫폼 핵심 강점. 다항원 통합, 장기간 효과, 면역 취약자 안전성, 냉장 보관 장점
- Gedeptin 플랫폼 종양 내 직접 주입 혁신 기전, FDA 희귀의약품 지정
- 면역치료제와 백신 양쪽에서 플랫폼 차별성 확보
- 경쟁사 비교
- mRNA 기반: Pfizer, Moderna / 항암 유전자 치료: Gritstone Bio, Oncolytics Biotech 등
- MVA 플랫폼 차별화, 면역저하자 COVID-19 등 틈새시장 집중 전략 강점
- Gedeptin "needle-accessible solid tumors" 특화, 면역관문억제제(I/O) 병용 가능성 경쟁 우위
- 주요 파트너십
- 미국 NIH, 국방부(DOD), 에모리대학교, Burnet Institute 등과 협력 (임상 시험 지원)
- WHO와 Mpox 백신 공급 협의, 아프리카 생산 역량 국제 협력 논의
- 글로벌 감염병 위기 대응 기업 입지 강화에 중요 역할

지오박스 랩스, 최근 주요 뉴스
- 다항원 COVID-19 백신 후보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 공개 (2025년 4월 16일)
- 기존 mRNA 한계 보완하는 차세대 백신 잠재력 부각, 면역 취약층 미충족 수요 타겟 전략 강화
- 마버그 출혈열 백신 특허 승인 획득 (2025년 4월 9일)
- 고위험 바이러스 대응 포트폴리오 확장 및 정부 파트너십 가능성 확대, 기술 진입 장벽 상승
- 2024년 연간 실적 발표 및 실적 부진으로 주가 급락 (2025년 3월 27일)
- 단기 운영비용 부담 현실화 보여주나, 임상 진전 및 파이프라인 가치에 대한 장기적 기대 공존

지오박스 랩스, 향후 전망 분석
- 강점 & 기회요소
- MVA 플랫폼과 Gedeptin은 기술적 희소성과 확장성을 갖춘 전략 자산
- 백신 비축 수요, 정부 지원, 항암 병용치료 등 다중 수익 기회 확보
- 약점 & 위험요인
- 매출 없는 임상단계 기업으로 자본조달과 비용 지속 압박
- 규제 변수와 임상 실패 시 가치 급락 가능성 존재
- 재무 목표와 계획
- 2025년 중 GEO-CM04S1과 Gedeptin 임상 진척 및 GEO-MVA 긴급사용 신청 목표
- 정부 조달 및 해외 진출 병행 추진하며 임상 및 생산 확장을 위한 자금 유치 지속

지오박스 랩스, 재무상태 분석
- 오버뷰: 총수익은 TTM 기준 395만 달러로 전년과 유사하나, 2021년 대비 10배 성장하며 임상 확장 기반 마련
- 이익률: 영업마진 -630% 수준으로, 수익보다 비용이 현저히 높은 임상단계 바이오기업 특성을 반영
- 특이점: EPS는 -4.82로 개선됐으나 여전히 적자폭이 크며, 비용은 통제되고 있지만 임상 확장으로 부담 지속
- 투자 지표 분석: P/B 1.73, P/S 2.91 수준은 기대 가치 반영 가능성을 시사하나, ROE와 ROA가 각각 -460% 이상으로 수익성은 전무

지오박스 랩스, 주식/주주 현황
- 주가 흐름
- 현재 주가 $0.83. 최근 1개월 -42.95%, 최근 1년 -98.83%
- 임상 비용 증가 및 BARDA 임상 중단 이슈로 인한 투자심리 악화
- 주요 주주: 기관 투자가 비중 5.67%. Geode Capital (0.65%), Vanguard (0.37%), Citadel, Blackrock 등 소액 보유
- 기관 투자자 비율: 5.67% 보유
- 업계 평균 대비 낮은 수준. 최근 분기 기관 순매수 활동 감소세 (-43.63%)
- 내부자 보유 비율: 0.39% (낮음), 2025년 4월 CEO 추가 매입 긍정적 신호
- 공매도 정보: 7.76%, Short Ratio 1.09
- 단기 매도 압력 존재하나, 낮은 유동성 고려 시 빠른 반등 가능성 배제 불가
- 배당 없음

지오박스 랩스는 아직 상업화된 제품은 없지만, 감염병과 암 치료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기술력을 쌓아온 임상단계 바이오 기업입니다. MVA 기반 백신 플랫폼과 다항원 설계 전략은 기존 mRNA 백신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항암제 Gedeptin은 종양 내 직접 주입 방식이라는 점에서 기존 면역치료와 차별화되며 병용요법 임상도 가시권에 진입했습니다. 재무적으로는 아직 적자 기조가 이어지고 있으나 임상 진척과 정부 협력 확대가 실질적 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지오박스 랩스는 CEO의 내부자 매입, MVA 백신 제조 플랫폼 완성 등의 뉴스가 리더십과 실행력 측면에서 긍정적 시그널로 해석됩니다. 백신 관련 글로벌 질병 트렌드와 정책 수요가 맞물리면서 이 회사는 점점 더 ‘백신 외교’의 키 플레이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Mpox는 WHO 비상사태로 다시 부각되며 지오박스 랩스는 미국 내 유일한 MVA 기반 백신 후보라는 점에서 중요한 파트너가 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